데이터분석연구
서울대학교의 교육 및 연구활동 전반에 걸쳐 체계적인 데이터 거버넌스를 구축하며 데이터 기반 정책결정을 위한 분석자료를 제공합니다.
목적 및 활용
- 대학운영 현안 및 학내기관의 다양한 분석 수요에 대응하며, 기관 간 협업을 통해 분석과제를 발굴하고 기획·수행
- 분석 결과는 정책 수립과 제도 개선에 반영되어, 대학의 전략적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핵심 기반으로 활용
2022년 이후 보고서는 정책연구과제 검색 시스템에 탑재되어 있어 직접 열람 가능(그외 보고서는 요청시 검토 후 제공 가능)
보고서 검색 경로 : 마이스누(mySNU) 포털 → 행정/업무 → 통계/정책/정보관리 → 정책연구과제
보고서 요청 방법 : 이메일 문의 uic@snu.ac.kr
데이터분석 수행목록(2019 ~)
32건
2023
외국인 유학생 분포 및 교과목 수강현황 분석
유학생의 주요 과목 수강 현황, 전공에서의 성적 분포, 수강평가 자료 등을 통해 유학생의 취득 성적 확인, 수업 지원 방안 모색
2023
외국인 유학생 교육서비스 만족도와 2022 교육서비스 만족도 차이 비교
국제협력본부에 대한 외국인 만족도 수준 확인 및 교육수요자 만족도 조사와의 비교 분석
2023
국제하계강좌(ISP) 운영에 따른 유학생 유입효과 분석
ISP 부여 학번과 교환학생 학번 비교를 통해 동일 유학생이 교환학생으로의 유입 효과가 있는지 분석, 교환학생으로 온 학생들이 실제 석, 박사 진학으로 이어지는지 분석
2022
데이터 기반의 전략적인 도서관 운영을 위한 이용자별 도서관 이용행태 분석
도서관 대출 및 반납 기록을 분석하여 도서관 이용자들의 이용자별 특성과 도서 대출 패턴 등에 대한 이용행태 분석
2022
서울대학교 다전공제도 참여 현황 및 활성화 방안 연구
다전공 참여 현황과 전공별, 계열별 다전공 수요 및 취소 분석, 학생설계전공명 키워드 분석
2022
교육단위별 교육서비스 제공 현황 기반 적정 자원 배분 기준 및 교육 정책 수립
교육단위별 교육서비스 제공 현황을 분석하여 자원 배치 수준을 확인하고 교육서비스 지수를 도출하고, 서울대학교 교육자 자원 배치 유형화
2022
대학원생 장학금 제도 개선을 위한 학생 1인당 장학금 수혜 현황 분석
2017-2021학년도 기금 및 성격별 장학금과 인건비 운영 현황, 대학원생 1인당 장학금‧인건비 수혜 현황 분석
2022
세계대학평가 지표를 통한 본교 대학 경쟁력 제고 전략 분석
세계대학평가(QS, THE) 세계/아시아/학문분야 평가지표별 본교 위치 진단 및 신규 지표 변동 예측, 학문분야별 연구역량 순위 제고 전략 분석
2021
데이터 수집 및 시각화
서울대학교 학부 교육에서 자유전공학부의 현재 위치, 캠퍼스 권역별 식당 수요 대비 수용 능력 분석, 서울대학교 외국인 유학생 현황 분석
2021
교육단위별 교육서비스 제공 현황 분석
교육단위별 적정 자원 배분 기준 및 교육정책 수립